본문 바로가기

CONER'S MUSIC LIFE/LINER NOTES (DOMESTIC)

강성희 [Rain, Woman & the Other Thing]

신촌블루스의 매력적인 ‘절창’ 보컬리스트 전통을 잇는 강성희

 

 

강성희의 솔로 데뷔앨범이다. 강성희는 현재 신촌블루스의 보컬리스트다. 얼마 전 솔로 앨범 [Sweet & Blue]를 발표한 제니스가 신촌블루스에서 ‘소프트’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면 강성희는 ‘하드’한 나머지 한 축이다. 이름 그대로 ‘강성’이다. 강성희가 신촌블루스와 인연을 맺은 건 2010년대 초반이다. 홍대 클럽을 중심으로 인디밴드로 활동하던 강성희를 눈여겨봤던 엄인호가 2014년 신촌블루스의 신곡 ‘붉은 노을’을 녹음하며 코러스 참여를 권유한 게 계기가 됐다. 마침 밴드활동을 쉬고 있던 강성희는 흔쾌히 싱글 작업에 동참했고, 이후 이어진 신촌블루스 단독 공연에서는 코러스가 아닌 정식 보컬로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됐다. 강성희는 “사실 인디밴드로 오랫동안 활동하다가 잠시 쉴 때 내가 음악을 계속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 힘들어 하던 시기였다”며 그런 자신에게 다시 음악을 할 수 있게 무대로 불러준 엄인호와 신촌블루스에게 감사하다는 이야기를 남기기도 했다. 이렇게 밴드의 정식 멤버가 되며 강성희에게는 여러모로 든든한 후원자가, 엄인호에게는 거쳐 갔던 전임 보컬리스트들에게서 들을 수 있던 ‘절창’이라는 전통을 잇는 지원군이 생겼다. 그리고 절박한 상황에서 함께 하게 된 대가와의 동행은 시너지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도 커다란 울림과 반향으로 발전됐다. 

2016년 신촌블루스가 발표한 30주년 기념 음반 [신촌블루스 30th Anniversary Album]은 신촌블루스의 멤버 크레디트에 강성희가 처음으로 정식 멤버로 이름을 올린 앨범이다. 솔(soul)을 저변에 깔고 있는 강성희의 힘에 넘친 보컬은 그간 신촌블루스의 공연을 보지 않고 음반만으로 새로운 목소리를 접한 많은 이들에게 적잖은 충격을 안겼다. 신촌블루스와 함께한 건 그렇게 오래 되지 않았지만 탁월한 가창력은 물론 인디밴드 시절부터 해봤던 많은 공연을 통해 켜켜이 쌓은 안정감과 원숙미까지 겸비한 ‘준비된’ 새 얼굴이었기 때문이다. 엄인호의 안목은 이번에도 틀리지 않았다. 아무래도 늦게 합류했기 때문에 그간 밴드가 발표했던 무수한 명곡을 남긴 전임 보컬리스트의 짙은 개성과 맞닥뜨리며 자신만의 온전한 스타일로 녹여내는 건 신촌블루스 가입과 함께 강성희가 떠안은 일종의 숙제와도 같았을 것이다. 강성희는 이에 대해서 완성형이 아니라 진행형이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개성을 찾으며 자신만의 해석을 담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어쩌면 이러한 과정들이 이미 처음 발표된 지 30년이 넘게 지난 신촌블루스의 레퍼토리들이 항상 현재 진행형으로 우리 주위에 머물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강성희의 솔로 데뷔앨범을 관통하는 정서는 ‘비’다. 수록곡의 제목만 훑어봐도 ‘비 오는 어느 저녁’, ‘비 오는 날의 해후’, ‘비의 블루스’가 한 눈에 들어온다. 기존 신촌블루스의 음반 가운데도 비를 주제로 한 앨범이 있다. 1992년에 발표한 신촌 블루스의 공식 4집, 앨범의 타이틀은 [Rainy Day Blues]다. 신촌블루스 음악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개성 있는 여성 보컬리스트의 매력을 들 수 있다. 하지만 [Rainy Day Blues]는 엄인호를 비롯해 남성 보컬리스트인 김형철, 정희남이 보컬을 맡으며 신촌블루스의 음반 가운데는 이례적인 음반으로 남았다. 사운드 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전작까지 보여줬던 엄인호 특유의 신경질적으로 날카로운 기타 톤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이번 강성희의 음반은 이렇게 보다 록 성향이 강하고 어두운 측면으로 접근하며 언뜻 핑크 플로이드의 데이비드 길모어를 떠오르게 만드는 부분 역시 없지 않았던 [Rainy Day Blues]의 전반적인 음색과 ‘비’라는 공통 정서를 재현한다. [Rainy Day Blues]와 달리 이번에는 신촌블루스의 전통적인 매력을 다시 살린 개성 있는 여성보컬리스트다. 다소 아쉬움으로 남았던 [Rainy Day Blues]의 녹음에 비해 사운드 역시 충분히 만족스럽다.

박동율이 작곡해서 1980년 자신의 데뷔앨범에 수록했던 ‘비 오는 어느 저녁’은 김현식의 3집(1986)과 신촌블루스의 음반을 통해 꾸준하게 진화해왔다. 신촌블루스에 새로 가입한  정경화는 [신촌블루스 라이브 Vol.1](1989)와 세 번째 정규앨범 [신촌 Blues III](1990)에 담긴 이 곡을 통해 놀라운 가창력을 선보이며 순식간에 자신을 밴드의 프론트 우먼으로 부각시켰다. [신촌 Blues III]와 마찬가지로 강성희는 앨범의 오프닝트랙으로 위치시키며 김현식과 정경화라는 걸출한 보컬리스트와의 필연적인 비교를 한 치의 물러남 없는 정공법으로 돌파한다. ‘비 오는 날의 해후’는 원래 ‘나는 외로움 그대는 그리움’으로 잘 알려진 박영미가 자신의 두 번째 음반 [박영미 2](1991)에 ‘비 오는 토요일의 해후’라는 제목으로 처음 실었고, 이듬해 신촌블루스의 [Rainy Day Blues](1991)부터는 엄인호 보컬의 레퍼토리로 남은 곡이다. 첫 녹음의 박영미에 비해 원곡의 의도에 더욱 가깝게 접근한 강성희 버전은 후반부 남성 코러스와 내레이션, 고조되는 보컬 애드리브로 신촌 블루스 1집에 참여한 박인수의 ‘봄비’를 재현한다. 

 

 

‘비의 블루스’는 엄인호가 정경화, 김목경, 조준형과 함께한 라이브앨범 [Super Stage](1993), ‘마지막 블루스’는 [신촌블루스 라이브 Vol.1](1989)와 [신촌블루스 III](1990)에서 각각 정경화가 불렀던 곡이다. 정경화의 파워에 결코 밀리지 않는 고음에서의 매력과 살짝살짝 드러나는 버릇과 같은 강성희의 독특한 개성으로 강성희 가입 이후 신촌블루스의 공연에서 분위기를 가장 고조시켰던 곡으로 꼽힐 만큼 현재 신촌블루스의 대표곡이 됐다. ‘어둠 그 별빛’은 김현식의 [김현식 2](1984)에 담긴 곡이지만 언제부턴가 신촌블루스의 라이브 세트리스트에서 빠지지 않는 공공연한 공식 레퍼토리가 된 곡이다. 공연을 통해 숱하게 불렀던 곡이지만 원곡이 주는 압박을 벗어나기 위해 강성희는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노래를 좋아하는 편인데 ‘어둠 그 별빛’은 어렸을 때부터 느낌이 남달랐다”며 “이번 녹음을 앞두고 많은 걱정을 했는데 결론은 잘 부르고 싶은 욕심이 너무 강해서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욕심을 버리고 부르자 라는 맘으로 녹음을 했다.”며 더하는 것보다 덜어내는 쪽에 방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부분은 비단 ‘어둠 그 별빛’에만 국한되지 않고 앨범의 전반적인 색깔에도 동일하게 적용됐다. 이번 음반에서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코로나-19로 인해 모두가 위축된 시기인 만큼 “위로를 주려면 어떻게 불러야할까”였다. 그리고 그 고민을 해결하기위해 자신답지 않은 부분을 비워내는 데 주안점을 두며 전에 불렀던 스타일에서 느낌이 과한 건 줄이고 놓쳐버린 부분은 조금 더 섬세하게 표현하고자 애썼다. 단순히 탄탄한 고음이나 파워풀한 보컬의 나열이 아니라 강약완급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는 얘기다. 앞서 언급한 대표곡은 물론 펑키/솔의 화려한 매력으로 똘똘 뭉친 ‘너의 맘속에 잊혀진 나는’, 홍키통크 리듬에 스윙감 넘치는 ‘밤마다’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고민의 흔적은 그대로 수록곡에 기록됐다. ‘언젠가는’은 엄인호와 함께 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던 박보가 만든 곡에 강성희가 직접 가사를 붙인 곡이다. 강성희가 홍대 클럽에서 박보밴드와 조인트공연을 할 때 애절한 느낌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던 곡을 엄인호에게 직접 추천해서 수록했다. 앞서 이야기한 ‘위로’라는 의미를 다시 떠오르게 만드는 애잔한 트랙이다.

강성희는 인터뷰를 통해 자기 자신은 한 곡을 제대로 표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아직도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음반을 들어보면 대부분의 수록곡이 이미 신촌블루스나 주변 뮤지션을 통해 발표됐던 곡임에도 불구하고 강성희만의 독특한 매력은 요소요소에서 차고 넘침을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제작자 엄인호’의 두 번째 음반인 이번 앨범은 첫 번째 음반인 제니스의 앨범과 함께 단순히 신촌블루스의 역사를 돌아보는 과거 회고적 시선이 아니라 또 다른 시각을 통한 일종의 대물림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렵사리 내디딘 발걸음은 그간의 고심이 그대로 드러날 만큼 충분히 만족스럽다. 강성희라는 매력적인 보컬리스트와 함께 다음 세대로 자연스레 이어진 새로운 신촌블루스의 또 다른 활동도 기대된다. (20210825)

글 송명하 (파라노이드 편집장)

 


박영미의 2집 음반 가운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비오는 토요일의 해후'를 강성희가 다시 부른 버전이 담긴 음반이다. 강성희는 20년 쯤 전부터 알고 지내는 대전 출신의 보컬리스트다. 당시에는 리버사이드 블랙독으로 활동했는데, 서울로 올라가서는 라일락, 라일로 활동했고, 지금은 신촌블루스의 두 여성 보컬 가운데 한 명이다. 엄인호 형님의 다이렉트 오더를 받아 황급히 작성한 라이너노트. 음원으로는 서비스되고 있지만 피지컬로는 아직 발매가 되지 않았다. 이후 기회를 봐서 LP로 제작할 계획이라고 한다.